전체 글145 세종대왕의 리더십 – 인간적인 리더 vs 시스템형 리더 역사 속 리더십의 상징, 세종대왕. 그가 보여준 ‘인간적인 통치’는 현대 리더에게 어떤 의미일까? 시스템 중심의 현대 경영과 비교하며 해석해 본다.1. 가장 인간적인 왕, 세종한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군주로 손꼽히는 인물이 바로 세종대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세종을 기억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훈민정음 창제'이지만, 그 이면에는 깊은 인간애와 통찰력 있는 리더십이 존재합니다.그는 백성의 삶을 직접 살피기 위해 신하들과 토론을 반복했고, 병약한 몸에도 불구하고 직접 정사를 챙기는 ‘책상머리 리더십’을 보여주었습니다. 세종은 인간적인 고뇌 속에서 리더십을 발휘했던 왕이었습니다. 2. 세종은 왜 사람을 먼저 생각했는가세종은 수많은 개혁과 문화적 성취를 이뤘지만, 그것은 언제나 ‘사람’이 중심에 .. 2025. 4. 16. 「날개」의 자의식 과잉, 지금 보면 공감될까? 1. “조용히 미쳐가고 있었다” – 이상과 ‘자의식’이상의 『날개』(1936)는 한국 문단에 충격을 안긴 모더니즘 소설입니다. 이야기 구조도 희미하고, 주인공은 특별한 사건 없이 방안에서 끊임없이 사유하며 시간을 흘려보냅니다. 이 독백적인 흐름은 당시로선 파격이었지만, 지금 읽어도 낯설면서도 묘하게 끌리는 힘이 있습니다.소설 속 화자는 끊임없이 “나를 관찰”합니다. 자신이 아내에게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 왜 이처럼 수동적인 삶을 사는지 스스로 분석하고 해석합니다. 이처럼 과도하게 자기 안으로 파고드는 태도는 흔히 ‘자의식 과잉’이라 불립니다.키워드: 날개, 이상, 자의식, 내면 독백, 모더니즘2. 현대인도 이토록 ‘복잡한 나’를 안고 산다‘자의식 과잉’은 현대 사회에서도 낯설지 않은 단어입니다. 오히.. 2025. 4. 16. 고대 철학자들의 ‘행복론’ – 오늘날 정신건강과 연결하기 1. “행복이란 무엇인가?” – 시대를 넘어선 질문고대 철학자들은 수천 년 전부터 ‘행복’을 인생의 중심 화두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말한 ‘행복’은 단순한 기쁨이나 쾌락이 아니라, 마음의 평온과 조화, 그리고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삶이었습니다.Aristotle: “Happiness depends upon ourselves.”이는 외부 조건이 아니라 삶을 바라보는 내면의 태도가 행복을 결정한다는 말입니다. 현대인의 정신건강 문제 역시, 이 ‘내면 중심’의 시각에서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고대 철학은 이미 ‘마음의 과학’이었다스토아 철학자들은 특히 감정 조절과 평정심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고통이 줄어들 수 있다고 믿었죠.Epictetus: “It’s no.. 2025. 4. 16. 맹자의 성선설 vs 현실의 인간관계 – 누구 말이 맞았을까? 1. 맹자의 주장 – 인간은 본래 선하다맹자는 말합니다.“사람의 성품은 선하다(性善).”그는 인간이 본래 타인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는 존재라고 봤어요.대표적인 예가 우물가에 빠지는 아이를 본 사람이이득이나 명예 때문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돕고 싶어 하는 마음(측은지심)**을 예로 들죠.그 마음은 본능적으로 모두에게 있다는 게 맹자의 주장입니다.맹자는 말합니다:사람은 악해서 타락하는 것이 아니라환경과 습관이 그 본성을 가리는 것이라구요.즉, 인간은 본래 착하고 따뜻하며, 올바르게 자라면 누구나 선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 2. 그런데 현실은 왜 이럴까요?문제는 우리가 사는 현실의 인간관계입니다.직장에서는 뒷말이 오가고SNS에서는 질투와 비교가 넘쳐나며뉴스엔 온갖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죠“과연 인간이 선하다.. 2025. 4. 16. 니체의 초인 사상과 요즘 ‘자기계발 문화’ 비교하기 – "자기 자신을 극복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는 무엇인가?" 1. 초인이란 누구인가 – 니체의 이상형프리드리히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초인(Übermensch)’**을 제시합니다.초인은 인간을 넘어서는 존재이자, 자기 가치를 스스로 만드는 사람입니다.그는 신도, 전통도, 도덕도 모두 넘어설 줄 아는 절대적 주체입니다.니체가 말한 초인은 다음과 같은 자입니다:내면에서 나오는 힘으로 살아가는 자기존의 규범을 넘어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자고통과 혼란 속에서도 자신을 긍정하는 자 2. 현대의 자기계발, 정말 나를 위한 걸까?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자기계발 콘텐츠가 넘쳐납니다.“일찍 일어나기”, “성공하는 사람들의 10가지 습관”, “투잡으로 월 1천 버는 법”…이 모든 건 겉.. 2025. 4. 16. 장자의 ‘무위’ 철학 – 번아웃 시대의 탈출구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 당신에겐 있나요?” 1. 무위란 무엇인가 – 장자의 철학적 선언장자의 철학은 언제나 한 걸음 물러난 곳에서 시작됩니다.그는 공자처럼 사회 윤리를 강조하지도 않고, 묵자처럼 실용성을 따지지도 않았습니다.장자는 말합니다. “진짜 삶은 자연에 맡기고 흘러가는 것이다.”그 핵심은 바로 무위(無爲), 아무것도 하지 않음 속에서 모든 것을 품는 태도입니다.하지만 장자가 말한 ‘무위’는 게으름이나 무기력과는 전혀 다릅니다.그것은 억지로 뭔가를 하려 하지 않고, 자연스러움을 따라가며 삶을 조율하는 방식입니다.무위는 고요함 속의 흐름을 읽고, 힘을 덜어내는 예술입니다. 2. 멈추지 못하는 우리, 번아웃이라는 병현대인은 늘 바쁩니다.“일이 밀려서”, “시간이 없어서”, “지금 멈.. 2025. 4. 15.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다음